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카시트 의무 연령 – 우리아이 카시트 언제까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brokengroundgame.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brokengroundgame.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ABC타이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94회 및 좋아요 1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정의하고 있는 영유아의 나이는 6세 미만까지를 의미함으로 만 5세 까지는 반드시 카시트를 착용해야 하는것으로 법제화 되어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카시트 의무 연령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우리아이 카시트 언제까지?? – 카시트 의무 연령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아이와 동승해 운전을 하면 반드시 ‘카시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건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죠.
ABC타이어에서 카시트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 상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채널구독☞ https://goo.gl/nuS9YD
:::정품 타이어를 싼 가격에! 집근처 무료 장착까지!:::
타이어를 싸게사는 가장 쉬운 방법
—
Home : http://www.abctire.co.kr
E-mail: [email protected]
TEL : 1544-0039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Abctirefacebook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abctire1
네이버 포스트: https://post.naver.com/abctire1
카카오 스토리 : https://story.kakao.com/ch/abctire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abctire
카시트 의무 연령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사용기간 정리 – 엔초급
카시트는 법적으로 의무사항입니다. 현행 도로교통법을 보면 재작년부터 모든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 됐습니다. 법적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는 …
Source: howtodo.co.kr
Date Published: 3/30/2021
View: 9952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와 위반시 벌금(범칙금) 체크
카시트 의무착용나이: 6세 미만의 영유아는 의무적으로 카시트 사용. 전문가들에 의하면 키 145cm, 몸무게 39kg이 되기 전까지는 성인용 안전벨트는 위험 …
Source: chungho-store.tistory.com
Date Published: 8/30/2022
View: 8716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 몇 살까지 타야 될까?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는 만 6세까지입니다. 갓난아기를 포함해서 만 6세 이하의 영·유아는 자동차를 탈 때 무조건 카시트에 앉아야 합니다.
Source: yolofire.tistory.com
Date Published: 1/11/2022
View: 4622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및 추천 – 신생아 | 영유아 | 주니어 – blog
5. 나라별 카시트 착용 의무 기준 및 과태료 비교 ; 구분, 한국, 미국 ; 연령기준, 만 6세 미만, 주에 따라 만 3~8세 ; 신체기준, 없음, 키 144cm, 몸무게 18 …
Source: main.kyumdoctor.co.kr
Date Published: 4/3/2022
View: 4927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와 미착용시 범칙금(벌금) – 파파루시
도로교통법에 의하면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는 6세 미만입니다. 6세 미만의 영유아는 카시트 의무사용입니다. 법으로는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가 6세 …
Source: fafarucy.tistory.com
Date Published: 8/24/2022
View: 5001
카시트 의무 나이 – 독일아빠 – Tistory
카시트는 개정된 도로교통법상 한국에서는 6세 미만의 아동에 카시트 착용을 의무하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는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 12세, …
Source: jayreview.tistory.com
Date Published: 10/13/2022
View: 523
‘초등생’ 카시트 착용 의무 없는데…충돌 실험 결과 보니 – SBS뉴스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SBS 연속보도, 그 두 번째 순서는 어린이 필수품 카시트의 효과입니다. 현재 카시트 의무사용 연령은 만 6세 미만이지만 …
Source: news.sbs.co.kr
Date Published: 3/19/2022
View: 815
우리 아이 안전을 위한 카시트, 제대로 사용하고 있나요?
전 좌석 안전띠 의무화가 시행되면서 카시트 사용에 대한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개정된 도로교통법 제 50조에 따르면 만 6세 미만 영유아는 …
Source: allways.smotor.com
Date Published: 5/29/2021
View: 2496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및 범칙금 알아보기 – 배워서 남주자
법적으로 카시트 착용 의무나이는 신생아부터 만 6세까지로 되어있습니다. 탑승 중에는 반드시 카시트에 태워서 이동을 해야하고, 만 6세가 지나면 전 …
Source: alllearn.arenapick.com
Date Published: 9/25/2022
View: 398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카시트 의무 연령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우리아이 카시트 언제까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카시트 의무 연령
- Author: ABC타이어
- Views: 조회수 1,694회
- Likes: 좋아요 14개
- Date Published: 2021. 6. 1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XrtSFUgwLw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사용기간 정리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얼마전에 카시트를 새로 구입해서 변경했습니다. 카시드도 알아야 하는 부분들이 조금 있더군요.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시 안전벨트, 에어백과 함께 우리 아이를 지켜주는 카시트에 대해서 기본적인 내용들은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와 사용기한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카시트는 법적으로 의무사항입니다. 현행 도로교통법을 보면 재작년부터 모든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 됐습니다. 법적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는 신생아부터 만 6세까지입니다. 해당 연령 아이들은 반드시 카시트를 의무 착용해야 합니다.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고가 나면 아이가 앞 좌석과 충돌해 머리와 흉부에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물론 더 안좋은 결과까지 발생하는 일이 많습니다. 교통안공단에서 자동차 충돌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99%에 달한 사망 가능성이 카시트 착용 후 18%까지 줄어들었습니다. 간혹 카시트를 한 번 사서 아이가 작을때 사용하다가 커버리면 카시트를 그만 쓰게 되는데요.
아이들은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몸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연령별로 적합한 카시트 형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0~3세는 몸과 목 전체를 보호하는 바구니형 카시트를 주로 사용합니다.
3~5세 어린이는 2개의 끈으로 고정하는 방식인 토들러 카시트 그리고 슬슬 카시트에 앉기 싫어하는 4~6세는 일반 안전벨트처럼 하나의 끈으로 고정하는 방식인 부스터 카시트를 사용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만큼 중요한 장착방법에 신경을 많이 써야합니다. 올바르게 카시트를 장착하지 않았다면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를 잘 지켜도 도움이 많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대부분 카시트를 정확하게 장착하는 편이지만 일단 카시트는 차량 뒷자석에 설치하는게 기본입니다. 조수석에 카시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에어백이 오히려 아이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2인승 차량의 경우는 에어백을 제거하고 조수석을 최대한 뒤로 밀어서 장착하기도 합니다. 또한 카시트는 좌석에 단단하게 고정을 하는 것은 기본이겠죠.
만 1세 미만은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장착하는게 사고 발생시 충격을 분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카시트 머리 지지대도 아이 머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높이를 잘 맞추고 아이 사이즈에 맞게 카시트를 선택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가 지난 초등학교 졸업 전까지도 카시트 착용을 권장합니다.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145cm, 몸무게 39kg이하는 성인용 안전벨트가 몸에 잘 맞지 않아 위험하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에 대해서 조사했습니다.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와 위반시 벌금(범칙금) 체크
아이들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와 위반 시 벌금 금액은 얼마인지 알아봅니다. 예전에는 카시트뿐 아니라 뒷좌석 안전벨트 매는 것도 의무가 아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여전히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이 상당히 낮다고 합니다.
앞좌석은 80%이상이 착용을 하지만 뒷좌석 안전벨트는 30% 정도에 머물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카시트뿐 아니라 성인들도 뒷좌석에서 안전벨트를 꼭 착용하도록 해야겠습니다.
카시트를 보통 설치를 해놓고 사용을 하기때문에 요즘에는 미착용하는 경우가 적지만, 다른 차를 갑자기 이용하게 되는 경우 옮겨 설치하는 것이 귀찮다 보니 미착용을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 귀찮음은 다들 이해하는 부분이지만 카시트를 미착용하면 벌금이 있습니다.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아이들은 성인용 안전벨트를 착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아 카시트를 착용하는데, 의무 착용 나이가 있다고 합니다. 6세 미만의 영유아라면 의무적으로 카시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즉 성인용 안전벨트가 아닌 카시트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죠.
카시트 의무착용나이: 6세 미만의 영유아는 의무적으로 카시트 사용.
전문가들에 의하면 키 145cm, 몸무게 39kg이 되기 전까지는 성인용 안전벨트는 위험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통 초등학교 졸업 전까지는 아이들용 부스터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요즘 카시트는 신생아부터 초등학생까지 신체사이즈에 따라 맞춰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죠.
카시트 미착용시 벌금 금액
카시트 착용의무화는 2018년부터 ‘전 좌석 안전띠 착용 의무화’가 적용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고속도로뿐 아니라 모든 시내 도로에서도 전좌 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된 것입니다. 택시, 고속버스, 직행버스, 광역버스 등 사업용 차량도 적용이 되었고, 6세 미만 영유아 카시트 착용 필수화가 함께 시행되었습니다.
6세 미만의 영유아가 카시트를 미착용한 경우 벌금은 6만원입니다. 그리고 13세 미만 어린이가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경우에도 6만 원의 범칙금이 나옵니다. 그리고 일반인 안전띠 미착용은 3만 원 벌금이라고 합니다.
안전벨트 미착용 벌금 금액
6세 미만 영유아 카시트 미착용 벌금: 6만원
13세 미만 어린이 안전띠 미착용 벌금: 6만 원
안전띠 미착용 벌금: 3만 원
반응형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 몇 살까지 타야 될까?
아이들이 자라면서 카시트를 언제까지 해야 할까 궁금해집니다. 언제부터 우리 아이는 일반 안전벨트를 매도 괜찮을까요?
오늘은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를 알아보고, 언제부터 일반 안전벨트를 매도 괜찮은지, 다른 대안은 없는지 정리해봤습니다.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는 만 6세까지입니다. 갓난아기를 포함해서 만 6세 이하의 영·유아는 자동차를 탈 때 무조건 카시트에 앉아야 합니다.
카시트 의무착용을 엄격히 단속하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이를 어길 시에는 6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하게 되어 있습니다.
단속 여부를 떠나서 카시트는 아이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죠. 한 실험에 의하면 99% 사망률 사고에, 카시트 착용만으로도 사망률을 18%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만 6세가 넘어가면 일반 안전벨트를 매도 괜찮을까요?
법적으로 카시트 착용 의무는 없지만, 일반 안전벨트를 매기에는 다소 위험한 나이입니다. 벨트가 목에 쓸리거나 조일 수도 있어서 더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어요.
따라서 몸이 충분히 자랄 때까지는 카시트에 앉는 것이 좋습니다. 기준을 말하자면 키 145cm, 몸무게 39kg 이상이 적당하다고 해요.
물론 아이들마다 신체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실제 앉아보고 벨트가 목과 너무 가까운 위치를 지나는지 체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때 아이들의 성장 속도입니다. 자라면서 카시트를 점점 불편해하는데요, 적당한 시점에 주니어(토들러) 카시트로 갈아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신생아 카시트 : 보통 12개월(13kg 이하)까지 권장
주니어 카시트 : 보통 만 12세(36kg 이하)까지 권장
신생아 카시트 vs 주니어 카시트
그리고 주니어 카시트마저도 불편해하거나, 자리를 많이 차지해서 부담될 때는 앉은키만 높여주는 부스터 카시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부스터 카시트
지금까지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와, 언제부터 일반 안전벨트를 매도 괜찮을지 알아봤습니다. 아이의 안전은 부모가 지켜야겠죠?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및 추천 – 신생아 | 영유아 | 주니어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및 추천 – 신생아 | 영유아 | 주니어
어린자녀를 둔 부모님들은 아이들을 차에 태울때 무조건 카시트를 해야하는데요. 그렇다면 카시트 의마착용 나이 및 신생아, 영유아, 주니어별로 카시트 추천 순위를 알아 볼까 합니다. 아래에서 카시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부터 알아볼께요.
출처: googlewph.com/35/
1. 카시트 착용이 필요한 이유
카시트는 기본적으로 아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장치인데요. 성인 기준으로 적용된 안전벨트는 아이의 안전을 지켜주지 못합니다.
카시트 미착용시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 가능성 UP
중증 외상성 두부손상 발생 위험 미착용 시 착용 시보다 280%높음
입원 사망률 비교
출처: 2018년 질병관리본부 – 지역사회 손상예방프로그램개발 연구용역
TIP. 카시트를 거부하는 아이. 안고 타면 왜 안되나요?
아이를 안고 타고 가다 사고가 날 경우 아이가 받는 충격은 아이의 무게+안고 있는 보호자의 무게만큼이다. 5kg미만의 아이가 50kg 이상의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는 카시트 착용이 필수다.
2. 연령별·몸무게별 추천 카시트 종류
연령 12개월 18개월 4세 6세 12세 몸무게 10kg 13kg 18kg 25kg 36kg
바구니형 카시트
신생아부터 12~15개월 (0~13kg)
뒤보기 장착
신생아 겸용 유아용 카시트
신생아부터 4~6세 (0 – 18~25kg)
앞보기 장착, 뒤보기 장착 겸용 5점식 벨트
유아~주니어용 카시트
9개월~12세 (9~36kg)
앞보기 장착 3점식/5점식 벨트 겸용
주니어용 카시트
4~12세 (15~36kg)
앞보기 장착 5점식 벨트
부스터 카시트
6~12세 (22~36kg)
앞보기 장착 차량 벨트 사용
카시트 장착 옵션
앞보기 장착
아이의 시선과 차량 이동 방향 동일
뒤보기 장착
아이의 시선과 차량 이동 방향 반대
Tip
영유아의 경우 머리의 비중이 전체의 25%에 해당된다. 앞보기 장착을 할 경우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몸이 쉽게 앞으로 쏠리고 머리, 척추 등에 무리가 갈 확률이 커진다. 따라서 1세~2세까지는 뒤보기 장착이 필수적이다.
안전벨트 고정 방식
3점식 안전벨트
기본적인 차량의 안전벨트 형식
5점식 안전벨트
어깨와 허리, 양쪽 가랑이를 5방향으로 감싸주는 안전벨트 형식
Tip
신체가 작은 유아의 경우 3점식 안전벨트로 몸을 고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5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한 고정이 필수적인데요. 각 카시트마다 5점식 안전벨트의 허용 몸무게와 키가 다르니 아이의 성장에 따라 확인 후 바꿔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카시트 장착 방법
ISOFIX 장착 방식
국제 표준기구 ISO에서 제정한 카시트 장착 국제 표준, 기본적으로 ISOFIX는 33kg(아이+카시트무게)까지 벌틸 수 있음
*국내에서는 2010년도 이후부터 출시되는 차량의 경우 ISOFIX 적용이 법제화되어 있으나 그 이전이나 경계에 있는 차량의 경우 ISOFIX 적용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ISOFIX 고정 방식
차량용 안전벨트 사용장착 방식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어있는 안전벨트를 활용해 카시트를 고정
Tip
차량용 안전벨트 장착 방식과 ISOFIX 장착 방식에서 안전적인 부분의 차이는 없으나, ISOFIX 방식의 경우 오장착 확률이 현저히 적어집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부분 카시트가 ISOFIX 장착 방식으로 출시되는 추세입니다.
ISOFIX 장착과 차량용 안전벨트 장착 둘 다 사용 가능한 카시트의 경우 아이+카시트 무게를 생각해서 선택 장착하면 됩니다. 아이+카시트 무게가 33kg가 되지 않으면 ISOFIX를, 넘을 경우 차량용 안전 벨트를 사용하자.
탑테더(Top Tether) 방식
카시트 상단부를 잡아주는 고리 차량 시트 뒤에 위치한 후크에 카시트 고리를 걸어주는 형식
. 충돌 시 카시트가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현상 방지
. 카시트와 시트 사이의 유격 최소화
차량별 탑테더 고정 위치
Tip
ISOFIX만 사용하여 카시트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경우 카시트 하단 부분만 차에 고정된다. 차량 충돌 시 카시트가 전방으로 튀어나갈 확률이 커지기 때문에 탑테더와 함께 고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4. 안전인증 I-size
최신 유럽 안전 인증 기준으로 기존에 없던 ‘측면 충돌’ 테스트 및 ‘신장 기준’ 카시트 분류가 추가된 안전 인증이다.
Tip
2014년 도로교통공단 조사에 따르면 자동차 사고 유형 중 58.1%가 측면 충돌! 따라서,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는 측면 충돌 테스트가 있는 I-size 인증 카시트를 구매하자.
5. 나라별 카시트 착용 의무 기준 및 과태료 비교
구분 한국 미국 영국 연령기준 만 6세 미만 주에 따라 만 3~8세 만 12세 미만 신체기준 없음 키 144cm, 몸무게 18~36kg 키 135cm 미만 과태료 6만원 최대 500달러(약 58만원) 최소 30파운드~최대 500파운드(약 5~84만원)
Tip
차량의 안전벨트는 36kg 이상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는데요. 아이가 법정 착용 연령인 만 6세가 지났더라도 36kg미만이나, 안전벨트가 어깨에 제대로 위치하지 않는 경우 카시트 착용이 필수적이다.
6. 신생아용 카시트 추천 TOP 5
1. 폴레드 올에이지 360 프리미엄 ISOFIX 카시트 (갤럭시그레이)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신생아~12세 / 신생아~주니어용 / 사용체중: ~36kg /
최저가 가격: 424,230원
2. 싸이벡스 제로나 플러스 ISOFIX 카시트 (맨하탄그레이)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신생아~5세 / 신생아~유아용 / 사용체중: ~18kg /
최저가 가격: 328,990원
3. 다이치 퍼스트 세븐 플러스 터치픽스 ISOFIX 카시트 (프리미엄블랙)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신생아~7세 / 신생아~유아용 / 사용체중: ~25kg /
최저가 가격: 370,000원
4. 싸이벡스 제로나 플러스 ISOFIX 카시트 (어텀골드)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신생아~5세 / 신생아~유아용 / 사용체중: ~18kg /
최저가 가격: 309,260원
5. 브라이텍스 듀얼픽스2 ISOFIX 카시트 (나노그레이)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신생아~5세 / 신생아~유아용 / 사용체중: ~18kg /
최저가 가격: 626,700원
7. 영유아용 카시트 추천 TOP 5
1. 페도라 2021 C5 플러스 ISOFIX 카시트 (모던베이지)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9개월~12세 / 유아~주니어용 / 사용체중: 9~36kg /
최저가 가격: 162,880원
2. 브라이텍스 어드밴스 픽스4 ISOFIX 카시트 (쿨플로우블랙)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9개월~12세 / 유아~주니어용 / 사용체중: 9~36kg /
최저가 가격: 559,060원
3. 페도라 올라운드 C9 ISOFIX 카시트 (차콜블랙)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신생아~7세 / 신생아~유아용 / 사용체중: ~25kg /
최저가 가격: 198,000원
4. 싸이벡스 솔루션 엠픽스 SL 실버라인 ISOFIX 카시트 (퓨어블랙)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3~12세 / 유아~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194,570원
5. 페도라 2020 CJ1 ISOFIX 카시트 (스톤베이지)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4~12세 / 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153,000원
8. 주니어용 카시트 추천 TOP 5
1. 폴레드 볼픽스 프로 컴포트 ISOFIX 카시트 (런던브라운)
카시트 / 등받이분리형 / 사용연령: 3~12세 / 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300,290원
2. 그라코 로지코 LX 카시트 (블랙)
카시트 / 등받이분리형 / 사용연령: 3~12세 / 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70,300원
3. 싸이벡스 솔루션 제트픽스 플러스 ISOFIX 카시트 (소호그레이)
카시트 / 일체형 / 사용연령: 3~12세 / 유아~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417,570원
4. 토드비 그랜드코쿤 ISOFIX 카시트 + 발쿠션 세트 (베이지)
카시트 / 등받이분리형 / 사용연령: 4~12세 / 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142,280원
5. 그라코 로지코 LX 카시트 + ISOFIX 벨트 (블랙)
카시트 / 등받이분리형 / 사용연령: 3~12세 / 주니어용 / 사용체중: 15~36kg /
최저가 가격: 83,710원
반응형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와 미착용시 범칙금(벌금)
반응형
안전운전의 기본은 안전벨트 착용입니다. 안전벨트 착용은 다들 잘 알고 있지만 어린이 특히 영유아 안전벨트 착용 기준을 잘 몰라 이번 기회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 및 기준
도로교통법에 의하면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는 6세 미만입니다. 6세 미만의 영유아는 카시트 의무사용입니다. 법으로는 카시트 의무 착용 나이가 6세 미만이지만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초등학교 졸업 때까지 카시트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키 145cm, 몸무게 39kg이 되기 전까지는 성인용 안전벨트를 사용하면 위험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일반적인 안전벨트 착용기준은 전좌석 안전벨트 사용 의무화입니다. 따라서 안전벨트 착용 기준은 무조건 안전벨트 사용입니다. 위반 시 범칙금이 부과됩니다.
카시트
2021.05.15 – [유용한 정보들] – 범칙금 과태료 차이와 적용기준 알아보자
2021.04.23 – [유용한 정보들] – 어린이날 선물 추천 베스트 5 시작합니다
카시트 벌금 및 안전벨트 미착용 벌금(범칙금)
6세 미만 어린이(영유아) 카시트 미착용 시 벌금(범칙금)은 6만 원입니다. 범칙금은 직접 경찰이 목격하고 단속 시 이루어지는 벌금의 형태입니다. 과태료와 범칙금은 차이가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안전띠 미착용 시 벌금(범칙금) 3만 원입니다. 벌금을 떠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 착용은 필수입니다. 최근에는 택시 이용시도 카시트 사용을 의무화하였으나 현실과의 괴리로 인해 단속 유예기간 중입니다. 왜냐면 카시트를 들고 다녀야 하기 때문입니다.
카시트 구입 시 주의사항
1. 아이의 머리보다 등받이가 높아야 합니다. 차량 충돌 시 반동으로 아이의 목이 꺾일 가능성이 높기에 항상 아이의 머리보다 등받이가 높아야 합니다.
2. 사용 연령과 체중에 맞는 제품을 구입해야 합니다. 카시트를 사러 갈 경우 판매자와 상담하여 아이의 연령, 키, 체중을 고려하여 알맞은 카시트를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3. 안전인증마크(KC)가 있는 제품을 구입해야합니다. 공인된 기간에서 안전검사를 마친 검증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카시트 의무 나이
반응형
아이가 태어나면서 가장 처음 구매하는 것 중 하나가 카시트입니다. 법적으로도 0세부터 카시트 사용은 의무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과태료 정도를 떠나서 아이의 안전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꼭 지속적인 사용이 필요한 육아용품입니다. 카시트를 하지 않을 경우 아기 머리 상해 위험도 높아지고 실질적으로 과태료가 6세 미만은 현재까지는 6만원이 발생합니다. 한국의 경우는 이러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2018년도에 시행되어서 카시트 장착이 의무화가 되었다는 사실에 대해 인지를 아직도 잘 못하는 부모님들이 일부 있습니다.
1. 카시트 의무 나이는?
카시트의 경우는 아기가 태어난 직후부터 사용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아기띠에 메고 차를 타거나, 안아서 가는 경우를 생각하실 수 도 있는데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절대로 하시면 안됩니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에는 머리도 제대로 가누지 못하기 때문에 약간의 접촉사고에도 크게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이의 키가 일정 이상 지나지 않고선 성인용으로 맞춘 안전벨트의 경우는 아이의 목을 졸라멜 수 있기 때문에도 해당 연령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 하시는 것이 필수입니다. 카시트는 개정된 도로교통법상 한국에서는 6세 미만의 아동에 카시트 착용을 의무하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는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 12세, 145cm 이상이 되어서야 카시트 의무를 해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카시트의 종류
카시트 형태중에 고정 방식은 일반적으로 두가지로 나눕니다. 하나는 기존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방식이고, 나머지는 ISOFIX라고 합니다. ISOFIX는 차량에 규격화된 위치에 고리가 두개가 장착이 되어 있을 경우 ISOFIX 형태의 카시트는 보다 쉽고 안전하게 탈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 나오는 차량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뒷자리 좌우에 하나씩은 ISOFIX가 제공되기는 하나, 자세한 것은 각 차량의 메뉴얼을 참조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 형태의 장착보다 안전하다고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중 하나는 잘못된 장착을 할 확률이 그만큼 낮기 때문입니다. 가격대의 경우는 ISOFIX 형태의 카시트가 보통은 약간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1) 바구니형 카시트
Britax 바구니형 카시트 예시
신생아때 꼭 필요한 형태이며 0에서 2세까지 사용을 많이 합니다. 특징은 일반적으로 후방 주시를 하는 형태가 많으며 바구니를 탈착해서 이동을 하거나 유모차에 올려서 쓸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된 카시트도 있습니다. 이는 특히 아이가 차안에서 잠이 들면 들어서 깨울 필요 없이, 바구니를 통째로 빼서 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탈착형이라는 이유때문에 보통은 바구니와 바구니를 장착할 수 있는 아래부분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며, 일부 제품들의 경우는 ISOFIX가 가능은 하나 추가로 제품을 ISOFIX 악세사리를 구매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최근 트렌드의 경우는 회전형으로 나오는 카시트들이 나오고 있습니다만, 실제로 필자가 사용해본 결과 아이를 태울때 많은 도움이 되는 기능입니다.
2) 의자형 카시트
다이치 의자형 카시트 예시
의자형 카시트의 경우는 보통 몸을 잘 가누고 앉는 것 역시 안정적인 3-6세 사이에 사용을 많이 합니다. 의자형 부터는 출시하는 브랜드에 따라서 사용 연령이 많이 나뉘기는 합니다. 3-6세만 사용 가능한 모델도 있고, 확장성을 줘서 12세까지도 사용 가능한 모델들도 있습니다. 형태도 5점식 벨트를 적용한 모델부터 (5점식 벨트는 양 어깨와 다리 사이에 연결해서 메는 형태를 말합니다.) 가드형으로 아이의 상체 부분을 전체적으로 막아서 만든 형태 정도로 구분이 됩니다.
3) 주니어 카시트
페도라 주니어 카시트 예시
보통 4세정도부터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고 12세까지 사용이 가능한 관계로 카시트가 아이의 성장과 홤께 같이 크는 형태로 개발이 되어 있습니다. 보통은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키가 클 경우 특히 머리 보호대의 최대 확장 거리에 따라 아이의 어깨가 걸리기 시작하면 불편해지게 되면 부스터 사용이나 성인용 벨트 사용을 고려할 때가 됩니다. 주니어 시트의 경우는 의자형 카시트와는 다르게 5점식 벨트가 아닌 일반 어른용 벨트를 사용해서 장착하는 특징입니다.
4) 부스터
토드비 부스터 예시
부스터의 경우는 아이의 앉은 키를 높이는 장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니어 시트의 경우는 어깨와 머리 부분까지 있는 카시트라면, 부스터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인 앉는 부분만 있는 제품입니다. 성인용 안전벨트를 이용해서 아이에게 벨트를 메는 형식입니다. 사용연령은 보통 4-12세로 표기가 되며 몸무게는 15kg 이상부터 사용을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성인용 안전벨트를 사용하는 관계로 앉아서 안전벨트를 했을때 목이 아닌 어깨를 보호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부스터나 주니어 카시트와 같은 카시트의 의무 사용 기간은 만 6세때까지이지만,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는 성장 상황을 고려해서 가능한 12세까지는 사용을 해주는 것이 추천되기는 합니다.
2. 카시트 구매시 팁
카시트의 경우 몇가지 팁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보시면 좋습니다.
나이대에 맞는 카시트를 사야하기 때문에, 최소한 두번은 구매해야합니다. (영유아용과 6세까지 쓸 용도)
카시트는 ISOFIX던 안전벨트 고정형이던 제대로된 장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를 태울때는 두꺼운 잠바등은 벗기고 안전벨트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ISOFIX가 가격대는 있어도 탈착이 조금더 쉽고 잘못된 장착 확률이 낮다.
국내 법적 사용은 6세까지지만, 아이의 안전을 고려했을 때는 성장 과정에 맞춰 사용을 하는것이 좋다.
OECD 회원국 카시트 장착률
2018년 초반 기사를 기반으로 보면 한국 카시트 장착률은 아직도 30%대 초반인것에 반해 타 OECD 국가의 카시트 장착률은 3배 가까이 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2018년도부터 개선된 도로교통법으로 이 수치가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서 빠르게 올라가기를 바랍니다.
육아 관련해서 다양한 정보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초등생’ 카시트 착용 의무 없는데…충돌 실험 결과 보니
<앵커>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SBS 연속보도, 그 두 번째 순서는 어린이 필수품 카시트의 효과입니다. 현재 카시트 의무사용 연령은 만 6세 미만이지만 초등학생 기준 충돌실험에서도 안전성이 입증됐습니다. 카시트 안 쓰면 중상 위험이 5배나 높았던 겁니다.
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살 아이를 둔 홍수미 씨 가족처럼 어린 자녀를 차에 태울 때 카시트에 앉히는 건 생활화됐습니다.
[홍수미/경기 고양시 : 차 탈 때는 항상 아기는 여기에 앉도록 계속 습관을 들여놔서 지금은 울거나 그러진 않아요. 이게 (어린이) 나이 때까지 사용이 가능하거든요.]하지만 카시트 의무 연령이 지난 만 6살부터 막상 카시트에 앉히는 일은 쉽지가 않습니다.
[권현숙/서울 동작구 : 카시트를 해도 아이들이 그걸 많이 불편해 하고 안 하려고 하니까, 그냥 성인용 안전벨트로 대체가 된다고 어떻게 보면 안일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카시트를 이용했을 때와 성인용 안전벨트만 맸을 때를 초등학교 저학년 크기의 모형으로 차량충돌실험을 했습니다.
카시트를 한 모형은 충돌 시 앞으로 고꾸라졌다가 바로 제자리로 돌아가지만 안전벨트만 한 모형은 안전벨트가 꼬인 채 앞으로 튕겨 나갑니다.
카시트에 앉은 경우 크게 다칠 가능성은 15% 정도였지만 안전벨트만 한 경우는 그 5배가 넘었습니다.
아직 키가 충분히 자라지 않은 어린이는 안전벨트 끈이 목과 배를 지나게 돼 충격 흡수가 떨어집니다.
어린이용 카시트나 엉덩이 받침 모양의 부스터로 아이의 앉은 키를 높여줘야 합니다.
[하승우/한국교통안전공단 교육운영처 교수부장 : 성인들 크기 기준으로 해서 안전벨트가 만들어져 있는데요, 유년기에 있는 아기들 같은 경우에는 엉덩이를 좀 높여서 안전벨트가 가슴 상단부분을 걸치개 됐을 때만 충격으로 튕겨저나가는 것을 막기 때문에.]대부분 교통 선진국들은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카시트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아이들은 키가 145cm 넘게 자랄 때까지 카시트를 써야 합니다.
우리나라도 역시 카시트 착용 연령을 높이거나 일정 키까지 카시트를 쓰도록 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오영택, 화면제공 : 한국교통안전공단)
우리 아이 안전을 위한 카시트, 제대로 사용하고 있나요?
전 좌석 안전띠 의무화가 시행되면서 카시트 사용에 대한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개정된 도로교통법 제 50조에 따르면 만 6세 미만 영유아는 유아용 보호 장구(카시트)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하는데요.
그러나 실제로는 잘 안지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0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의 카시트 미착용률이 38.5%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 중 카시트가 있음에도 착용하지 않은 비율이 15%라고 합니다. 성인에 비해 신체가 미성숙한 유아동의 경우 자동차 사고시 중상을 입을 가능성이 커 해외에서는 최대 13세까지 카시트 사용을 권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카시트 안전띠를 잘못 착용하면 아이가 적절하게 고정되지 못해 사고 시 중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아이의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카시트. 잘 선택해서 올바르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연령에 맞는 카시트 고르는 팁부터 설치방법 등의 유용한 정보를 같이 알아볼까요?
연령에 맞는 카시트 고르는 법
연령별 카시트를 따로 써야하나요? 카시트 첫 구매를 앞둔 예비부모님들이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인데요. 카시트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하나로 아이가 클 때까지 쭉 사용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카시트는 보통 연령별, 신체발달(체중) 정도를 기준으로 단계에 맞춰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나이에 따라 신생아용(바구니 카시트), 컨버터블, 아동용 카시트(부스터 카시트)로 나뉩니다.
먼저 1단계인 신생아 카시트의 경우 바구니형태로 생겨 바구니형 카시트라고도 많이 불리는데요. 유선형시트로 목뼈와 척추등이 불안정한 상태의 영유아에게 적합하며 최대 1개월~24개월까지 사용 가능하다고 하지만 대부분은 10kg 미만까지만 탈 수 있어 첫 돌(12개월 미만)이 되기 전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유아용 컨버터블 카시트는 3세부터 6세용으로, 아이 스스로 목을 가눌 수 있고 척추 뼈도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카시트를 통해 차량 탑승시에도 스스로 앉는 습관을 들여 주는 게 좋습니다. 이 컨버터블 카시트의 경우 각도 및 어깨 벨트, 헤드쿠션 높이 조절 등이 가능한데, 이때 꼭 살펴야 하는 건 벨트 타입입니다. 2점식 벨트의 경우 허리로만 지나가므로 사고 시 벨트가 닿아 있는 복부쪽으로 충격이 쏠려 장기 등이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어 위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고가 나더라도 아이의 체중이 받는 충격을 분산시켜 줄 수 있는 5점식 벨트(어깨와 허리, 양쪽 가랑이를 다섯 방향으로 감싸주는)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동용 카시트는 부스터 카시트라고도 하는데요. 어른용 차량 안전 벨트 착용이 어려운 7세부터 13세(최대 몸무게 36kg까지) 아이들에게 뒷 좌석위에 시트를 올려 그 위에 앉는 형태로 아이의 앉은키를 올려주는 보조시트 같은 역할을 하는 카시트입니다. 이때는 어깨와 허리를 잡아 줄 수 있는 3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해 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카시트 설치방법 및 주의할 점은?
차에 카시트를 장착하면 가장 안전한 자리는 어디일까요? 바로 에어백이 없는 조수석 뒷자리입니다. 간혹 혼자 아이를 동반하고 운전할 때 시야에서 벗어 나는게 불안해 옆자리에 태우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사고 시 에어백이 터지면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조수석 뒷자리에 카시트를 장착해야 합니다.
영유아는 아직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불완전한 상태이므로 카시트는 반드시 후방을 향해 장착 (차량의 진행방향과 반대인 뒤를 보는 형태) 해야 하고, 머리를 자발적으로 지탱하는 것이 어려운 신생아는 목이 편안할 수 있도록 카시트를 최대한 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머리를 잡아 줄 수 있는 헤드 부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면 더 좋겠죠?
카시트는 고정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별하는데요. 차량 내 부착된 안전벨트 사용 방식과 ISOFIX 시스템 두 가지로 나뉩니다. 여기서 ISOFIX란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흔들림 방지 고정 방식으로 카시트와 자동차를 연결하는 부분을 규격화 한 것인데요.
이 ISOFIX의 경우 안전벨트 고정 방식에 비해 장착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출시되는 카시트들의 대부분이 이 ISOFIX가 적용되어 있다고 해요. (*현재 판매되는 쌍용자동차 전차종에는 ISOFIX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벨트방식 카시트를 장착할 때는 카시트가 바닥좌석과 틈이 없도록 밀착시켜 준 다음 카시트를 고정하는 안전 벨트를 최대한 길게 풀어 차량 시트와 카시트를 고정시켜 줍니다. 다음 느슨해진 안전 벨트를 당기면서 카시트가 뒷자석 바닥면과 단단하게 고정이 되었는지 확인하며 벨트끈을 조여줍니다. 이 때 설치 후 흔들림이 있는지 손으로 움직여 보아야 합니다. 제대로 고정이 되지 않았다면 바닥과 접지한 면의 각도가 안 맞거나 벨트가 중간에 꼬였을 수도 있으니 다시 한번 확인해 보는게 좋겠죠?
ISOFIX가 적용된 카시트의 경우 설치가 매우 간편한데요. 카시트 하단에 보면 메탈로 된 지지대가 있는데, 이를 당겨 차량 시트에 바로 고정할 수 있어, 탈부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면에서도 뛰어나, ISOFIX 마크가 있는 카시트 선택은 이제 필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요즘 같은 겨울철 아이가 추울까봐 두꺼운 옷을 입힌 채로 카시트에 태우는 경우가 있는 데요. 이럴 경우 사고 시 안전벨트가 아기의 몸을 제대로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안전벨트 사이로 미끄러지듯 튕겨져 나갈 수 있으므로 두꺼운 외투는 벗기고 카시트에 담요나 외투를 덮어주세요.
카시트 구매 시 확인해야 하는 체크사항은?
시중에 나온 수많은 제품들 중 어떤 카시트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된다면 일단 안전성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인지 먼저 확인해 보세요. 카시트는 수입, 국내산 모두 KC 안전인증을 통과해야 하는데요. 한국생활환경 시험연구원에서 인증한 KC 안전 인증마크가 있는지 꼭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또한 제품 설명서에 안전 인증번호가 있는지,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 유럽인증기관 테스트를 거친 제품인지도 체크하면 좋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ISOFIX 마크도 확인해야 하겠죠.
전좌석 안전띠 의무화는 우리 모두의 안전을 위해 제정된 법규입니다. 잠깐의 편리함을 위해 아이의 생명과 안전을 포기해서는 안되니, 카시트 사용과 안전벨트 착용 습관화를 통해 모두 안전한 드라이빙 즐기시길 바랍니다.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및 범칙금 알아보기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
아마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자동차 좌석에 카시트를 설치하고 계실텐데요. 어린 아이의 카시트 사용은 안전을 위해서 법적으로 의무착용 을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카시트를 착용해야 하는 의무나이는 몇살인지, 그리고 카시트 착용위반시 범칙금에 대해서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법적으로 카시트 착용 의무나이는 신생아부터 만 6세까지 로 되어있습니다. 탑승 중에는 반드시 카시트에 태워서 이동을 해야하고, 만 6세가 지나면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으로 안전을 지켜야 합니다.
뒷좌석에 앉는다고 카시트를 설치하지 않았다가 사고가 나면 가벼운 체중으로 쉽게 튕겨져 나가 좌석 등받이나 내장재에 부딪혀서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에 대한 규정은 도로교통법 제50조 ‘6세 미만의 영유아는 반드시 카시트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한다’ 라는 항목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종 카시트를 앞좌석 보조석에 설치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설치방법입니다. 카시트는 반드시 뒷좌석에 설치해야한 합니다.
카시트 의무나이인 만6세가 지났다 해도 대략 13세정도의 나이(신장 145cm 미만)까지는 부스터 카시트 등을 사용하더라도 카시트 사용을 하도록 권장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카시트 의무착용 위반시 범칙금 은 얼마일까요? 2018년 9월 28일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만 6세 미만의 영유아가 카시트를 미착용했을 때 범칙금은 6만원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좌석 안전벨트 의무착용에 속한 내용인데요. 고속버스나 택시 탑승시에도 반드시 안전벨트를 의무착용해야 한다는 내용에서 이를 어길 경우 성인은 3만원, 13세 미만의 어린아이 경우 6만원의 범칙금을 내야만 합니다.
이상으로 카시트 의무착용 나이와 위반시 벌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카시트 의무착용으로 사랑하는 우리 아이의 안전을 꼭 지켜주시길 바랍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카시트 의무 연령
다음은 Bing에서 카시트 의무 연령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우리아이 카시트 언제까지??
- 타이어
- 타이어 추천
- 타이어 편평비
- ABC타이어
- 금호 타이어
- 한국 타이어
- 넥센 타이어
- 미쉐린 타 이어
- 던롭 타이어
- 굿이어 타이어
- 카시트
- 아이카시트
- 자동차카시트
- 카시트연령
- 카시트구입
- 카시트설치
- 카시트제한
- 카시트구매
- 자동차아이카시트
- 애기카시트
우리아이 #카시트 #언제까지??
YouTube에서 카시트 의무 연령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아이 카시트 언제까지?? | 카시트 의무 연령,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